개발자를 위한 효율적인 MacOS 백업 방법

아이맥(iMac) 또는 맥북(Macbook)을 새로 구입해서 기존 데이터를 마이그레이션 하거나, 기존 사용하던 맥에 문제가 생겨서 AS 센터를 방문해야할 경우 데이터 백업이 필수이다. 이때 어떻게 하면 꼭 필요한 파일만 백업해서 백업 소요시간과 디스크 용량을 절약 할 수 있을지 알보도록 하자.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Mac OS 쓸모없는 파일 정리를 통한 하드 공간 확보 글을 보고 필요없는 파일들을 먼저 정리해두자.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앱들도 미리 삭제하면 백업을 좀더 빠르게 할 수 있다. 앱 바이너리 파일 뿐만 아니라 관련해서 생성되는 설정/캐시파일까지 깨끗하게 삭제하려면 AppCleaner를 이용해서 앱을 삭제하는 것을 추천한다. ...

2020년 5월 2일 · 4분 · 716단어

자주쓰는 Xcode 단축키 모음

CMD + SHIFT + J : 열려있는 파일을 프로젝트 트리에서 보여주기 CMD + SHIFT + D 또는 Y: 디버깅 윈도우 열기/닫기 토글 CTRL + 1 : 현재 파일 관련 추가 메뉴 (find caller, callee) CTRL + 6 : 현재 파일 요약 (method, variable list) CMD + click: 정의로 이동 CMD + OPT + click: 정의로 이동하되 현재 창 반대편에 열기 CTRL + CMD + 왼쪽 / 오른쪽: 히스토리 이전/다음 이동 CMD + SHIFT + F: 전체 파일 스트링 검색 CMD + SHIFT + O: 파일 검색창 오픈 검색된 파일 선택시 OPT + Enter: 현재창 반대편에 열기 검색된 파일 선택시 OPT + SHIFT + Enter: 창 고르기 CMD + R: 실행 CMD + SHIF + K: 클린 CMD + 1 … 9: 왼쪽 사이드바의 탭 선택- CMD + CTRL + E: 특정 단어 선택 후 누르면 현재 파일내 동일 단어를 일괄 편집 (모든 파일을 분석해서 업데이트해주는 refactor와는 다름에 주의) CMD + OPT + 왼쪽 / 오른쪽: 현재 커서가 위치한 블록 접기/펼치기 (코드 양이 많을때 불필요한 메서드나 nesting된 블록을 접어놓고 보기 좋음)

2019년 11월 29일 · 1분 · 170단어

개발자라면 알아야 할 IntelliJ 필수 단축키 20선 for Mac

IntelliJ를 사용하는 개발자라면 알고있어야 할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는 필수적인 단축키들을 정리해보았다. 여기 나오는 단축키들만 마스터해도 생산성이 팍팍 올라가고 어디가서 IntelliJ 좀 쓸 줄 안다고 어깨에 힘줘 볼 수 있을것이다. 추가로 단축키 외에도 아래 내용 중에 소개하는 scratch 기능을 이용하면 간단한 코드들을 빠르게 작성하고 테스트 볼 수 있어서 생산성을 많이 올릴 수 있으니 사용해 보는것을 강력히 추천한다. CMD + N : 제네레이트 (컨스트럭터, 게터 셋터) CMD + SHIFT + N (scratch 파일 생성) 사용예: 코드 선택된 상태로 누르면 해당 영역이 그대로 복사됨 간단하게 언어 특성이나 코드 실행결과를 빠르게 테스트 보는데 좋음 사용예: json 생성 후 CMD + OPT + L 하면 auto formating 실행/디버깅 CTRL + D : 디버깅 CTRL + OPT + D : 여러 configuration들이 존재할때 특정 configuration 선택할 수 있는 창을 띄움 CTRL + SHIFT + D : 현재 커서가 있는 파일 또는 유닛테스트를 build & debug 참고: 위 세가지 단축키의 D 대신 R을 입력하면 디버깅 대신 실행 모드로 동작 F8: 디버깅 중에 누르면 next line으로 진행 CMD + OPT + R : 현재 브레이크포인트에 멈춰있는 어플리케이션을 Resume CMD + F8 : 현재 커서에 브레이크 포인트 토글 CMG + , : InterlliJ 전체 설정 CMD + ; : 프로젝트 설정 OPT + ENTER : 밑줄친 곳에서 추가액션 lint 적용, 오타 보정, error correction 등등 다양한 액션 가능 아이템 찾기 CMD + (SHIFT or OPT) + O : find symbols, files CMD + SHIFT + a : find actions (인텔리제이의 수많은 메뉴와 기능들을 찾기 힘들때는 이곳을 통해서 검색할것) SHIFT 2회 : find all CMD + E : 최근 열었던 파일 목록 텍스트 찾기 CMD + SHIFT + F text 전체 찾기 scope 지정 가능 CMD + SHIFT + R text 전체 Replace CMD + F12 : current file’s structure 코드 찾기 OPT + F7 : find usage CTRL + OPT + H: call hierachy CTRL + H: type hierachy CMD + Click: Jump to definition CMD + OPT + Click: Jump to Implementation interface를 구현한 구현체들을 검색해서 이동 CMD + DELETE : 현재 커서가있는 한줄 삭제 OPT + F1 → 1 : 현재파일 프로젝트 트리에서 열기 SHIFT + F6 : 이름 바꾸기 (refactor) CMD + SHIFT + V : 클립보드 히스토리 보기 네비게이션 CMD + [ : 뒤로 이동 CMD + ] : 앞으로 이동 윈도우 분할해서 사용중일때 (단축키 없음) Move to Opposite Group 현재 열려있는 파일을 반대편 윈도우로 옮긴다.

2019년 4월 5일 · 2분 · 381단어

깃(Git) 에서 유실된 커밋(commit) 복원하기

깃(Git)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다가 리베이스(rebase) 실수 또는 잘못된 명령어나 조작 실수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자신의 피땀눈물이 담긴 커밋(commit)들을 날려먹는 경우가 은근히 있다. remote에 push해서 백업을 만들어놓고 로컬에서만 작업했으면 다시 remote 저장소에서 받아오면 되지만, 그렇지도 않은 경우에는 어떻게 이 지워진 커밋들을 다시 읽어오거나 복원할 수 있을까? 다행히도 한번이라도 commit이 된 내용이라면, 심지어 현재 보이는 git tree 상에 보이지 않는 commit들 까지도 local git repository안에 commit log들이 남아 있다. 덕분에 이를 검색해서 해당 commit 상태로 복원 할 방법이 존재한다. ...

2018년 3월 11일 · 1분 · 150단어

코코아팟(CocoaPods) 젠킨스(Jenkins) 설정 연동

 코코아팟(CocoaPods)을 사용하게 될경우 프로젝트(.xcproject)기반에서 워크스페이스(.xcworkspace) 기반으로 변경된다. 이때 젠킨스(Jenkins)에서 기존 프로젝트 기반 설정을 그대로 사용할경우 기본 프로젝트는 잘 컴파일되지만, 연결된 Pods 프로젝트가 업데이트 및 컴파일이 되지 않아서 -lPods 링크 에러(link error)가 나는데. 이때 Jenkins에서 CocoaPods을 잘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설정방법을 공유하고자 한다. 설정 방법 기존에 프로젝트 기반으로 빌드설정이 되어있던 젠킨스 빌드설정 페이지를 열고, Build 섹션에서 “Add build step” 버튼을 눌러서 Execute shell 항목을 추가 후 pod install 명령어 입력 ...

2014년 7월 23일 · 1분 · 125단어

Git 상황별 명령어 tips

git의 경우 튜토리얼들과 설명들이 매우 많은편이지만,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명령어들의 숫자나 개념이 익숙하지 않아서 어떤 상황에 어떤 명령어를 넣어야하는지는 정작 힘들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 포스트에서는 상황을 가정하고 해당 상황일때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를 시나리오별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시나리오들은 생각나는대로 계속 추가 예정이다. 참고1: git에대해 기본적인 내용을 공부하고싶으면 이 사이트를 추천한다. http://learnbranch.urigit.com/ 인터랙티브한 방식으로 개념을 잘 설명하고있어서 처음 배울때 많은 도움이 된다. 참고2: http://git-scm.com/book/ko git에대한 기술적인 상세한 내용을 보려면 이곳을 참고할것. 커밋한 내용을 버리고 이전 커밋 상태로 돌리기 상황 설명: ...

2013년 12월 30일 · 5분 · 1029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