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논문 시제 사용

학술 논문을 작성할 때 어떤 시제를 어떻게 사용해야할까? 기준을 확실히 머릿속에 넣어두고 글을 작성하지 않는다면 인트로덕션에서 기존 연구를 소개할 때나, 실험결과를 설명 할 때 등의 시제를 들쑥날쑥하게 과거 현재를 섞어쓰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고민을 많이 했었는데 최근 에세이리뷰를 통해 논문 교정을 받았는데 에디터로부터 시제일치에 관해서 다음과 같은 코멘트를 받고 깨달음을 얻었다. “Verb tense consistency enforced (as per academic convention, past or pp for experimentation/procedure and present for findings/facts.” 즉, 실험이나 실험 과정에 대해서는 과거/과거분사형을 사용하고, 알아낸 사실에 대해서는 현재형을 사용하는 것이 학술논문에서의 관례라는 것이다. ...

2014년 3월 9일 · 1분 · 161단어

영어 표현 모음

at the urging of ~: ~의 권고(권유)로 urge가 명사로 쓰일때의 의미는 ‘충동, 열망’의 뜻 He signed up for seminar at the urging of the general manager. legal practice: the work of a lawyer, or the place where they work. It takes many years before one can open a legal practice. 발행부수, 판매부수 The journal’s domestic circulation had fallen steadily. 상태를 나타내는 동사인 know는 현재진행형 사용하지 않음 I’m knowing of local traffic laws. (X) I know local trafiic laws. (O) I’m cognizant of local traffic laws. (O) ...

2013년 8월 17일 · 1분 · 123단어

토익 스피킹 팁

이번에 토익 스피킹 시험 준비하면서 내가 외우려고 적어놨던 노트를 다시 정리 해 보았다. 한국말로 언뜻 보기엔 쉬운데 영어로는 생각안나는 것들이 꽤나되서, 영어공부는 꾸준히 계속 하는 수밖에 없겠구나 하는 좌절감이 든다. 그나저나 2년마다 새로 시험 쳐야되는 이놈의 토익시험비는 정말 시간/비용면에서 국가적인 낭비인듯 휴~. 단/복수 주의해야할 단어들 many peoples are (O) 많은 민족들이 many people are (O) 많은 사람들이 말하기 할때 헷갈리기 쉬운 단/복수 복수형 단어가 따로 존재하는 단어들의 경우 글로 쓸때는 잘 틀리지 않지만 말할때는 생각없이 s를 붙여서 말하게되는 경향이 있으니 주의할 것. ...

2013년 7월 24일 · 2분 · 354단어

영문, 국문 괄호 띄어쓰기

영문 괄호 규정 영어 논문을 처음 작성하는 대학원생들을 보면 항상 괄호 띄어쓰기에 있어 실수를 한다. 영문 괄호규칙의 경우, 항상 띄워쓰기를 하도록 되어있다. 손쉬운 예로 약어 표기를 할 경우를 보자. packet loss rate(PLR) -> 틀림 packet loss rate (PLR) -> 맞음 한글 괄호 규정 이에 반해서 한글 맞춤법에는 특별히 괄호 규정이 없다[^1]. 한국인들이 영문작성시 유난히 괄호 띄어쓰기를 실수를 많이하는 이유도 아마 이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한국어의 경우 특별한 규정이 없긴 하지만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영문과는 반대로 붙여쓰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

2013년 7월 18일 · 1분 · 92단어

restrictive clause, non-restrictive clause 구분하기

Restrictive/Non-restrictive clause 영문으로 이메일이나 논문을 쓰다보면 특정 명사를 절(clause)을 통해서 수식해서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어떤 형태의 절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수식하고자 하는 명사의 의미하는 범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쉼표하나 차이로 의미가 틀어져버리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한국사람들의 경우 이 미묘한 차이를 보통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아서 영문 글씨기 교정시에 가장 많이 지적받는 오류이기도하다. 때문에 글을 쓸 때 내가 어떤 의미를 전달하고자 이 수식구문을 사용하는지 항상 주의깊게 생각하고 글을 쓸 필요가 있다. ...

2013년 7월 16일 · 3분 · 557단어

such as, like 용법 구분 및 쉼표

such as 앞에 쉼표(comma)를 붙일 것인가 말 것인가1 such as 부분이 문장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에 있어서 필수적(essential)이면 앞에 쉼표를 쓰지않고, 추가 서술(nonessential)이면 쉽표를 사용한다. 이것은 결국 지난 포스팅에서 restrictive/non-restrictive 구분을 위해 쉼표를 이용할 때와 동일한 원리이다. 여기 참조 The clippings in Kristen’s Funny Writing box include topics such as dangling participles, spoonerisms, and eggcorns. topics 에 대한 뒤의 수식이 없으면 문장이 별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에 여기서 such as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쉼표 쓰지 않음. ...

2013년 7월 15일 · 2분 · 270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