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lumi를 이용하여 코드로 AWS 리소스 관리하기

mongodb+srv://mongodb-atlas-serverles.asdf.mongodb.net 위와같은 mongodb connection string이 있을때 해당 mongodb에 접속할 수 있는 실제 서버의 IP주소를 알고싶은 경우 다음과 같이하면 된다. 출력된 결과를 보면 mongodb-atlas-serverless-example-dev-lb.asdf.mongodb.net 부분이있는데 이것이 실제 주소이다. 여기서 나온 IP… [본문 읽기]
PAKE (password authenticated key exchange) PAKE는 두명 이상의 참여자가 패스워드 기반으로 암호화된 채널을 만들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암호학 적인 방법을 말한다. Balanced PAKE 참여자들이 서로 암호화된 채널을 만드는… [본문 읽기]
쿠키(cookie)를 이용한 세션기반의 인증의 경우 특정 웹서버에서 세션 상태(session state)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stateless 하지않다. 서버 로직이 Stateless가 아닌 경우 더 많은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동일한 서버의 숫자를 늘리는 스케일… [본문 읽기]
카프카 Consumer를 사용하다 보면 offset을 reset해야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개발 테스트를 진행하다가 필요에의해 offset을 리셋 실제 production에서 사용중에 예상치 못한 에러 등으로 데이터 누락이 발생하여 일정기간 전으로 다시 offset을 rewind해서… [본문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