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ulumi를 이용하여 코드로 AWS 리소스 관리하기

이 글은 스퀘어랩 기술 블로그에도 동일하게 업로드되어있습니다. https://squarelab.co/blog/update-nginx-ingress-controller/ AWS 상에서 쿠버네티스(k8s) 클러스터를 운영할때 NLB(Network Load Balancer)와 nginx ingress controller 를 조합해서 사용하면 매우 편리합니다. 일단 k8s 클러스터로 들어가는 모든 트래픽을… [본문 읽기]
AWS의 Application Load Balancer(LB)를 통해 실제 서버가 연결되어있을 때 서버가 죽어서 응답을 해주지 않으면 LB에서 대신 502 Gateway Error로 응답을 해준다. 이때 502 HTTP status code와 함께 LB의 디폴트 에러페이지가… [본문 읽기]
https://github.com/colinbjohnson/aws-missing-tools/tree/master/ec2-automate-backup 위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cron이나 jenkins job으로 등록하여 매일 한번씩 호출되게 해준다. ec2-automate-backup.sh -n -p -r ${region} -v ${ebs_volume_id} -k ${delete_after_days} -n 스냅샷 백업시에 태그에 있는 내용들을… [본문 읽기]
AWS에서 Elastic Beanstalk나 EC2에서 직접 오토스케일링 설정해서 사용하다보면 트래픽이 늘었을 때 인스턴스의 갯수가 늘어났다가(scale out) 트래픽이 줄어들면 불필요해진 자동으로 인스턴스를 shutdown하게 된다(scale in). 이때 shutdown 될 인스턴스에 연결되어서 진행중인 요청(in-flight… [본문 읽기]
원격 서버에 ssh로 접속한 후 실행시간이 긴 명령어를 수행중에 ssh 연결을 끊거나 네트워크 오류로 인해 연결이 끊어지게되면 실행중이던 명령어도 같이 종료되어버린다. ssh를 통해 실행된 shell에서 실행한 프로세스는 shell의 child 프로세스로… [본문 읽기]
카프카 Consumer를 사용하다 보면 offset을 reset해야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개발 테스트를 진행하다가 필요에의해 offset을 리셋 실제 production에서 사용중에 예상치 못한 에러 등으로 데이터 누락이 발생하여 일정기간 전으로 다시 offset을 rewind해서… [본문 읽기]
RDBMS만큼의 정합성과 영속성을 보장할 필요가 없는 데이터들을 빠르게 처리하거나 일정 기간동안만 보관하고 있기 위한 용도로 레디스(Redis), memcached 등의 in-memory 기반 저장소가 많이 사용된다. 그중에서도 Redis는 빠른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일정 수준… [본문 읽기]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를 적용만 하면 당신의 사이트의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라는 클라우드플레어 광고 문구를 보고 도대체 클라우드플레어가 중간에서 어떤일을 하는지 궁금해서 조금 자세히 찾아보았다. 사이트 접속시에 어떤 일이 일어날까? 사용자가… [본문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