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가 몇대 없고, 사용자의 숫자도 얼마 안되는 경우 각 서버별로 수동으로 유저를 추가하거나 권한을 부여해서 수동으로 관리하는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점점 서버의 숫자가 많아지고, 유저들도 늘어나는 경우 관리에 드는… [본문 읽기]
카테고리 글 목록: DevOps
우분투 JVM Segmetation Fault 버그 해결 및 커널 업데이트 방법
우분투(Ubuntu)의 커널 4.4.0.81 에서 JVM (Java Virtual Machine)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이 segmentation fault가 발생하면서 종료되어 버리는 현상이 존재한다. JVM 기반의 프로그램이 이상하게 실행이 안되고 죽는다 싶으면 아래 명령어로 커널 버전을 확인하자… [본문 읽기]
도메인 설정 변경 확인 명령어
도메인 레코드를 추가한다거나, 네임서버 주소를 바꾼다거나 하는 등 도메인 관련 설정을 변경하고나면 제대로 설정이 전파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지루하게 기다리는 시간이 이어진다. 도메인 설정이 모든 DNS들에게 전파되는데는 최대 1~2일까지 걸린다고 하지만… [본문 읽기]
AWS EC2 ssh 로그인 tips
AWS EC2 인스턴스 관리에 있어서 public/private key를 이용한 ssh 인증을 잘 이용하면 높은 보안성과 동시에 비밀번호 입력이 필요없는 편리한 환경을 구축 할 수 있다. AWS에 ssh 로그인 편리하게 하기 AWS(Amazon… [본문 읽기]